본문 바로가기

한국 漢詩

(120)
원천석(元天錫) 다수 원천석 元天錫 1330(충숙왕 17)~ ? 고려말 조선초의 학자·문인. 자는 자정(子正), 호는 운곡(耘谷). 원주(原州) 아전층의 후손으로 종부시령(宗簿寺令)을 지낸 윤적(允迪)의 아들이다. 문장과 학문으로 경향간(京鄕間)에 이름을 날렸으나, 출세를 단념한 채 한 번도 관계(官界)에 나가지 않고 ..
안축(安軸) 다수 안축 安軸 1287(충렬왕 13)~ 1348(충목왕 4). 고려말의 문신. 고향 죽계(竹溪)를 세력기반으로 하여 중앙으로 진출한 신흥유학자(新興儒學者)로 재능과 학문이 뛰어났다. 본관은 순흥(順興). 자는 당지(當之), 호는 근재(謹齋). 문과에 급제하여 전주사록(全州司錄)·사헌규정(司憲糾正)을 지내..
안정복(安鼎福) 다수 안정복 安鼎福 1712(숙종 38) - 1791(정조 15) 조선 후기의 실학자. 우리나라의 역사를 중국사에 종속시켜 다루는 것을 반대하고 독자적인 영역으로 서술했으며, 봉건사회의 점진적인 개혁을 주장했다. 1746년 이웃 고을인 안산에 살던 이익을 만나 경세치용의 학문을 배우게 되었다. 1748년 이..
신채호(申采浩) 다수 신채호(申采浩 1880 ~ 1936) 독립 운동가, 사학자, 언론인. 호는 단재이다. 을사조약이 맺어지자 황성 신문과 대한 매일 신보 등에 논설을 썼고, 영웅전과 역사책을 저술하여 민족 정신과 독립 정신을 북돋우기에 힘썼다. 중국으로 들어가 독립 운동을 했으며, 옛 고구려 땅을 답사하여 국사 ..
신광한(申光漢) 신광한 申光漢 1484(성종 15)~ 1555(명종 10). 조선 중기의 문신 대제학을 지낸 당대의 문장가로 2편의 몽유록과 소설에 근접한 2편의 전(傳)을 남겼다. 본관은 고령(高靈). 자는 한지(漢之)·시회(時晦), 호는 기재(企齋)·낙봉(駱峰)·석선재(石仙齋)·청성동주(靑城洞主). 영의정 숙주(淑舟)의 ..
宋翼弼(송익필) 다수 송익필 다른 표기 언어 宋翼弼 1534(중종 29)~ 1599(선조 32). 조선 전기의 학자 본관은 여산(礪山). 자는 운장(雲長), 호는 구봉(龜峯). 아버지는 천문학관 사련(祀連)이다. 할머니가 안돈후(安敦厚)와 비첩(婢妾) 사이에서 태어난 서녀(庶女)였으므로 그의 신분도 서얼(庶孼)이었다. 아버지 사련..
서거정(徐居正) 사도호 외 서거정 徐居正 조선 전기의 문신·학자. 조선 전기의 대표적인 지식인으로 45년간 세종·문종·단종·세조·예종·성종의 여섯 임금을 모셨으며 신흥왕조의 기틀을 잡고 문풍을 일으키는 데 크게 기여했다. 원만한 성품의 소유자로 단종 폐위와 사육신의 희생 등의 어지러운 현실 속에..
泗溟堂(사명당) 봉금계심명부 외 사명당 惟政 1544(중종 39) 경남 밀양~ 1610(광해군 2). 조선 중기의 승려. 본관은 풍천(豊川). 속명은 임응규(任應奎). 자는 이환(離幻), 호는 사명당(四溟堂)·송운(松雲), 별호는 종봉(鍾峰). 아버지는 수성(守成)이며, 어머니는 달성서씨(達城徐氏)이다. 7세 무렵부터 할아버지에게 〈사략 史..