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한국 漢詩

안정복(安鼎福) 다수

 

안정복

 安鼎福 1712(숙종 38) - 1791(정조 15)

 

조선 후기의 실학자.
우리나라의 역사를 중국사에 종속시켜 다루는 것을 반대하고 독자적인 영역으로 서술했으며, 봉건사회의 점진적인 개혁을 주장했다.
1746년 이웃 고을인 안산에 살던 이익을 만나 경세치용의 학문을 배우게 되었다.

1748년 이익이 동몽교관으로 추천했으며, 이듬해 만녕전참봉으로 첫 벼슬에 올랐다.

1751년 의영고참사, 이어 정릉직장·귀후서별제·사헌부감찰 등을 지냈다.

45세 되던 해 〈동사강목 〉을 쓰기 시작해 1759년에 초고를 완성했다.

그러나 이후에도 20여 년 간 이익·윤동규 등과 의견을 교환하면서 수정·보완 작업을 계속했다

 

 

우리나라의 역사를 중국사에 종속시켜 다루는 것을 반대하고 독자적인 영역으로 서술했으며, 봉건사회의 점진적인 개혁을 주장했다.

 본관은 광주(廣州). 자는 백순(百順), 호는 순암(順菴)·한산병은(漢山病隱)·우이자(虞夷子)·상헌(橡軒).

 

할아버지는 울산부사 서우(瑞雨)이고, 아버지는 극(極)이며, 어머니는 이익령(李益齡)의 딸이다.

 그의 집안은 당시의 중앙정계로부터 소외되고 있었던 남인 계열로 아버지는 관직에 나간 적이 없었으며, 그 자신도 한번도 과거에 응시하지 않았다.

 할아버지의 벼슬이 주로 외직이었던 까닭에 어려서부터 할아버지를 따라 제천·울산·영광·무주·한양 등 여러 곳을 돌아다녔다.

1736년(영조 12) 아버지를 따라 경기도 광주 경안면 덕곡리로 이주했다.

그뒤 이곳에 거주하면서 〈성리대전 性理大全〉을 분석하고 〈치통도 治統圖〉·〈도통도 道統圖〉 등을 저술하는 등 주자학 연구에 몰두했다.

1746년 이웃 고을인 안산에 살던 이익(李瀷)을 만나 경세치용(經世致用)의 학문을 배우게 되었다.

1748년 이익이 동몽교관으로 추천했으며, 이듬해 만녕전참봉으로 첫 벼슬에 올랐다.

1751년 의영고참사, 이어 정릉직장·귀후서별제·사헌부감찰 등을 지냈다. 45세 되던 해 〈동사강목 東史綱目〉을 쓰기 시작해 1759년에 초고를 완성했다.

그러나 이후에도 20여 년 간 이익·윤동규(尹東奎) 등과 의견을 교환하면서 수정·보완 작업을 계속했다.

 1772년 당시 세손이었던 정조를 보필하는 익위사익찬이 되었고, 4년 뒤 정조가 즉위하자 목천현감을 지냈다.

그뒤 돈녕부주부·첨지중추부사 등을 거쳐 1790년(정조 14) 동지중추부사에 오르고 광성군(廣成君)에 봉해졌으나, 그가 맡은 직위는 실질적인 권한을 갖는 것이 아니라 고령에 따른 예우로 받은 산직(散職)이었다.

 

 

 

 

운산음(雲山吟)-안정복(安鼎福)
구름과 산을 읊다-안정복(安鼎福)

白雲有起滅(백운유기멸) : 흰 구름 일어 사라지나
靑山無改時(청산무개시) : 푸른 산은 모습 바뀔 때 없다
變遷非所貴(변천비소귀) : 변천이 귀히 여길 바 아니지만
特立斯爲奇(특립사위기) : 우뚝 선 그 모습이 특별하도다

 

 

感懷(감회)-安鼎福(안정복)
감회-安鼎福(안정복)

漢山南麓一茅亭(한산남록일모정) : 한산의 남쪽 기슭 띠풀 정자 한채
霜髮居然七十齡(상발거연칠십령) : 서리맞은 백발에 어느덧 칠십이로다
欲罷不能家國事(욕파불능가국사) : 물려나려도 안 되는 것이 나라 일이요
將休難捨聖賢經(장휴난사성현경) : 놓으려도 못 놓는 것이 성현의 경전공부로다
良謀未遂排雲計(량모미수배운계) : 어두운 구름 헤치내는 좋은 계획 못 이루고
大道終如隔壁聽(대도종여격벽청) : 큰 진리는 끝내 벽 너머 들리는 듯 아련하구나
自笑龍鍾成濩落(자소룡종성호락) : 우스워라, 공연히 늙고 병든 내 몰골
晩飧宵寢鍊吾形(만손소침련오형) : 밥 먹고 잠자는 것으로 몸이나 챙기련다

 

 

感懷2(감회2)-安鼎福(안정복)
감회-安鼎福(안정복)

白首窮經雖有語(백수궁경수유어) : 백발에도 공부한다는 말 비록 있지마는
老來衰病力難强(로래쇠병력난강) : 늙고 병들어 억지로 힘을 쓰기 어려워지는구나
不如捨置身邊事(불여사치신변사) : 차라리 신변의 일들을 다 그만두고
隨處提惺戒勿忘(수처제성계물망) : 수시로 마음 일깨워 잊지나 말아야지

 

 

敬次望湖亭盆梅韻(경차망호정분매운)-安鼎福(안정복)
삼가 망호정 분매시에 차운하다-安鼎福(안정복)

地回一陽處(지회일양처) : 땅에 한 햇빛 기운 돌아온 곳에
天放數枝梅(천방수지매) : 하늘은 몇 떨기 매화를 피웠구나
不借東風力(불차동풍력) : 봄바람의 힘 빌리지 않고
却先百卉開(각선백훼개) : 온갖 꽃 젖혀두고 먼저 피었구나
梁園同雪去(량원동설거) : 양원에선 눈 속에 찾아가고 1
殷鼎和塩來(은정화염래) : 은나라 조정에선 소금으로 썼으니
肯作桃李樹(긍작도리수) : 복사꽃과 오얏꽃 되어
妬春更月猜(투춘경월시) : 봄빛과 달빛을 시샘하리라

 

 

몽작(夢作)--안정복(安鼎福)
꿈 속에서 짓다-안정복(安鼎福)

異端非我道(이단비아도) : 이단은 내 길이 아니고
經訓卽余田(경훈즉여전) : 경전 해석이 바로 내 밭갈이지
格致工成後(격치공성후) : 격물치지 그 공부가 되어야
方能語聖賢(방능어성현) : 비로소 성현을 말할 수 있으리라

 

 

題望湖亭盆梔(제망호정분치)-安鼎福(안정복)
망호정의 치자 분재-安鼎福(안정복)

一樹禪花伴草堂(일수선화반초당) : 한 그루 치자꽃 초당 곁에 있고
羞將桃李鬪春光(수장도리투춘광) : 복사꽃과 오얏꽃 봄빛을 부끄러워하네
秋來露重群芳歇(추래로중군방헐) : 가을 들어 찬 이슬 거듭 내려 꽃 다 진 뒤
獨自靑靑保晩香(독자청청보만향) : 푸르른 늦향기를 저 혼자 간직하였네

 

 

山居好(산거호)-安鼎福(안정복)
산에 사는 것이 좋아라-安鼎福(안정복)

山人每說山居好(산인매설산거호) : 산에 사는 사람 산이 좋자 하네
始信山居好無窮(시신산거호무궁) : 산 생활이 한없이 좋음을 이제야 알았다
今日山居何事好(금일산거하사호) : 오늘의 산 생활은 무슨 일이 좋은가
世間名利耳專聾(세간명리이전롱) : 세상의 명예와 이욕 들리지 않는 것이라네

 

 

次南公瑞韻(차남공서운)-安鼎福(안정복 )
남공서시에 차운하다-安鼎福(安鼎福 )

我本樗櫟材(아본저력재) : 나는 원래 쓸모없는 재목이라
癰腫在巖谷(옹종재암곡) : 마디 투성이로 바위 틈에서 살지만
君是松桂質(군시송계질) : 그대는 소나무 계수나무 자질이라
不有一尺曲(불유일척곡) : 굽은 곳이라곤 한 자도 없구나
臭味偶相合(취미우상합) : 취향이 우연히 서로 맞아
往往來茅屋(왕왕래모옥) : 가끔씩 나의 띳집 찾아와었지
高談軼靑冥(고담질청명) : 하늘에 고담준론 펼침에
顚倒任闔闢(전도임합벽) : 종횡무진 변환이 무쌍하였네
豈合老林泉(기합로림천) : 어찌 임천(林泉)에서 늙을 사람인가
名宜被草木(명의피초목) : 명성은 의당 초목에까지 미치리라
儒者重席珍(유자중석진) : 선비란 원래 자리 위의 진중한 보배
修德堪比玉(수덕감비옥) : 닦아진 그 덕이 옥과도 같다네
嗟嗟競末流(차차경말류) : 명예 이욕 다투는 불쌍한 저질 무리들
本性日喪斲(본성일상착) : 본성은 나날이 없어지고
軒冕誇鄕廬(헌면과향려) : 벼슬했다 제 고을에서 으시대고
勢位凌宗族(세위릉종족) : 위세를 부려 종족을 능멸하였다
何異貧家女(하이빈가녀) : 무엇이 다른가 가난한 집 아낙이
屑屑爭甁粟(설설쟁병속) : 곡식 몇 줌 놓고 다투는 것과
所貴守吾拙(소귀수오졸) : 제일 좋은 것은 못난 나대로 살면
萬事無不足(만사무불족) : 만사가 다 충분하다네

 

 

次尹景和韻(차윤경화운)-安鼎福(안정복)
윤경화의 운을 빌리다-安鼎福(안정복)

谷裏誰知有國香(곡리수지유국향) : 국향이 있는 줄을 산 골짜기 안에서 누가 알리
蔚蕤莖葉照朱光(울유경엽조주광) : 무성한 꽃과 잎이 햇볕에 비치는구나
風來馥郁掀書幄(풍래복욱흔서악) : 바람이 향기를 불어 서재 가득 보내 오니
似與幽人不果忘(사여유인불과망) : 흡사 숨어사는 선비를 잊지 못하는 듯 하구나

 

 

讀大學(독대학)-安鼎福(안정복)
대학을 읽고-安鼎福(안정복)

讀罷曾書夜已窮(독파증서야이궁) : 대학을 다 읽고 글을 저다가 밤이 이미 깊어
殘燈明滅影搖紅(잔등명멸영요홍) : 등잔불은 깜박깜박거리며 그림자가 흔들리네
三更色動千山月(삼경색동천산월) : 밤 삼경에 산에 비친 달빛 움직이고
萬木聲傳一壑風(만목성전일학풍) : 온 나무를 스치는 바람 소리 골짝에 들려오네
世上浮名渾似夢(세상부명혼사몽) : 속절없는 세상 명예 꿈속이지 뭐라던가
箇中眞味孰能通(개중진미숙능통) : 이 속의 이 진미를 누가 능ㅎ 알 것인가
勸君更討危微義(권군경토위미의) : 그대에게 권하노니, 인심과 도심을 그 뜻 새겨보게
意到誠時覺有功(의도성시각유공) : 뜻이 모아져 성실하게 되면 공덕이 생긴 것이라네

 

 

題科體東人賦冊面(제과체동인부책면)-安鼎福(안정복)
과체 동인부 책면에 제하다-安鼎福(안정복)

田間有一婦(전간유일부) : 농사꾼 아낙로 있으면서
鬢髮任天眞(빈발임천진) : 죽을 때까지 타고난 그대로 살아야지
隨俗買丹粉(수속매단분) : 세속 따라 분을 사 화장하면
翻爲識者嗔(번위식자진) : 도리어 식자의 빈축만 산다네

 

 

省吾來留數旬及歸口號五言短律二首以贈2(성오래류수순급귀구호오언단률이수이증2)-安鼎福(안정복)
성오가 와 몇십 일 묵고 있다가 돌아가려 하기에 오언 단율 두 수를 지어주다-安鼎福(안정복)

爲學在日用(위학재일용) : 학문이란 생활 가운데 있으니
此外儘悠悠(차외진유유) : 그 밖의 것이야 다 유유하니라
欲至萬丈峰(욕지만장봉) : 만 길 봉우리에 오르고 싶으면
先自足下由(선자족하유) : 우선 발밑에서 시작해야 한다네
古人貴實行(고인귀실행) : 옛 분들 실천을 귀히 여겨
沈嚜耻言浮(침묵치언부) : 침묵 지키며 헛소리 하는 것 부끄러워 했지
朝晝當不忘(조주당불망) : 아침이나 낮이나 잊지 말고
造次於是求(조차어시구) : 잠시라도 여기서 구해야 하네

 

 

省吾來留數旬及歸口號五言短律二首以贈1(성오래류수순급귀구호오언단률이수이증1)-安鼎福(안정복)
성오가 와 몇십 일 묵고 있다가 돌아가려 하기에 오언 단율 두 수를 지어주다-安鼎福(안정복)

讀書破萬卷(독서파만권) : 책을 읽어 만 권을 독파하니
下筆若有神(하필약유신) : 귀신이 돕는 듯 붓이 내려가네
古人不虛語(고인불허어) : 옛 사람 부질없이 말 하지 않았으니
此語經歷親(차어경력친) : 직접 겪어 보고 이 말을 알았네
夜寐人定後(야매인정후) : 남 다 잠든 뒤에 자고
朝起及淸晨(조기급청신) : 첫 새벽에 일찍 일어나서
孜孜几案間(자자궤안간) : 책상머리 앉아 쉬지 않고
日新又日新(일신우일신) : 하루하루 세로워지는 것이네

 

 

記夢(기몽)-安鼎福(안정복)
꿈을 적다-安鼎福(안정복)

人心操舍本由中(인심조사본유중) : 사람 마음을 다루는 것은 속에서 하나니
動處端宜猛着工(동처단의맹착공) : 움직일 때 과감하게 시작을 잘해야지
一步一言先自驗(일보일언선자험) : 한 걸음 말 한 마디도 스스로 증험하여
存存不已味無窮(존존불이미무궁) : 잡고 또 잡아두면 그 맛이 한없다네

 

 

仲秋望日詠退之一年明月今宵多爲韻成七絶7(중추망일영퇴지일년명월금소다위운성칠절7)-安鼎福(안정복)
팔월 보름날 한퇴지의 ‘일년명월금소다’시구를 운으로 하여 절구 일곱 수를 읊다-安鼎福(안정복)

對月時傾酒(대월시경주) : 달 보며 때때로 술잔 기울이고
吟詩且狂歌(음시차광가) : 시를 읊으며 미친 듯 노래 하노라.
世間靑紫客(세간청자객) : 이 세상의 벼슬아치들
較此不爲多(교차불위다) : 이보다 더 나을게 없으리라.

 

 

仲秋望日詠退之一年明月今宵多爲韻成七絶6(중추망일영퇴지일년명월금소다위운성칠절6)-安鼎福(안정복)
팔월 보름날 한퇴지의 ‘일년명월금소다’시구를 운으로 하여 절구 일곱 수를 읊다-安鼎福(안정복)

桂魄流依舊(계백류의구) : 달은 그 옛날 그대로 떠가고
天香何處飄(천향하처표) : 향기는 어디에서 오는 걸까
乘槎欲一問(승사욕일문) : 뗏목 타고 하늘 나루 물으려 하니
先鶴唳淸宵(선학려청소) : 맑은 이 밤에 앞서 나는 학이 우네

 

 

仲秋望日詠退之一年明月今宵多爲韻成七絶5(중추망일영퇴지일년명월금소다위운성칠절5)-安鼎福(안정복)
팔월 보름날 한퇴지의 ‘일년명월금소다’시구를 운으로 하여 절구 일곱 수를 읊다-安鼎福(안정복)

霽月當空白(제월당공백) : 갠 달 반공에 밝으니
連天冷氣侵(련천랭기침) : 찬 기운이 하늘에 가득 감도는데
淸光來幾世(청광래기세) : 저 맑은 빛 언제부터 있었을까
聞道古如今(문도고여금) : 내 들으니, 옛날에도 지금과 같았다네

 

 

仲秋望日詠退之一年明月今宵多爲韻成七絶4(중추망일영퇴지일년명월금소다위운성칠절4)-安鼎福(안정복)
팔월 보름날 한퇴지의 ‘일년명월금소다’시구를 운으로 하여 절구 일곱 수를 읊다-安鼎福(안정복)

萬壑風聲緊(만학풍성긴) : 골짜기마다 바람소리 세차고
千峰雪色滑(천봉설색활) : 천봉에는 눈빛 매꺼러운데
一雙何處鴈(일쌍하처안) : 어디서 오는걸까 기러기 한 쌍이
相對舞溪月(상대무계월) : 물에 잠긴 달보고 소로보며 춤을 추네

 

 

仲秋望日詠退之一年明月今宵多爲韻成七絶3(중추망일영퇴지일년명월금소다위운성칠절3)-安鼎福(안정복)
팔월 보름날 한퇴지의 ‘일년명월금소다’시구를 운으로 하여 절구 일곱 수를 읊다-安鼎福(안정복)

峽中秋氣滿(협중추기만) : 산골짜기에 가을기운이 가득하고
山月十分淸(산월십분청) : 산 위 달이 유난히도 밝구나
玉斧何年琢(옥부하년탁) : 옥도끼로 언찌 해마다 찍어내는가
金精此夜明(금정차야명) : 오늘밤 저 달이 저리 밝은데

 

 

仲秋望日詠退之一年明月今宵多爲韻成七絶2(중추망일영퇴지일년명월금소다위운성칠절2)-安鼎福(안정복)
팔월 보름날 한퇴지의 ‘일년명월금소다’시구를 운으로 하여 절구 일곱 수를 읊다-安鼎福(안정복)

玉露飛丹闕(옥로비단궐) : 붉은 대굴에 찬이슬 내리고
金丸走素天(금환주소천) : 하얀 하늘을 달이 달리네
可憐今夜興(가련금야흥) : 아깝도다, 오늘밤 이 흥취
歲歲又年年(세세우년년) : 해마다 해마다 되풀이 되었으면

 

 

仲秋望日詠退之一年明月今宵多爲韻成七絶1(중추망일영퇴지일년명월금소다위운성칠절1)-安鼎福(안정복)
팔월 보름날 한퇴지의 ‘일년명월금소다’시구를 운으로 하여 절구 일곱 수를 읊다-安鼎福(안정복)

節序臨高秋(절서림고추) : 계절이 벌써 하늘 높은 가을이라
西風吹慄慄(서풍취률률) : 서풍이 차갑게 불어오네
桂魄推上山(계백추상산) : 달이 산 위로 떠올라
頓覺精神一(돈각정신일) : 정신이 한결 상쾌함을 알았네

 

 

詠史4(영사4)-安鼎福(안정복)
온교(溫嶠) -安鼎福(안정복)

侯色承顔似老萊(후색승안사로래) : 부모의 얼굴빛 살피는 효성은 노래자와 같은데
如何更忍絶 來(여하경인절거래) : 어찌 다시 차마 옷자락을 잘라버리고 왔을까
枕戈當勵氷膽志(침과당려빙담지) : 세상을 평정하려면 담대한 뜻 지속해야지
不用區區玉鏡臺(부용구구옥경대) : 구구한 옥경대가 어디에 필요한가.

 

 

詠史3(영사3)-安鼎福(안정복)
왕도(王導)-安鼎福(안정복)

茂弘雅望足經時(무홍아망족경시) : 무홍은 덕망이 있어 세상 건질 인물인지라
江左夷吾有口碑(강좌이오유구비) : 강좌의 이오라고 사람들은 말했었다.
濟難雖無旋轉術(제난수무선전술) : 난세를 건져 태평으로 바꿔놓진 못했지만
一心三世繫安危(일심삼세계안위) : 한 마음으로 세 임금을 섬겨 나라의 안위를 지켰도다.

 

 

詠史1(영사1)-安鼎福(안정복)
유곤(劉琨)-安鼎福(안정복)

昔時賈謐門前客(석시가밀문전객) : 옛날 가밀의 집 출입하던 나그네
今日王倫幕裡賓(금일왕륜막리빈) : 오늘에는 왕륜의 귀한 손님이라
始識浮華難濟事(시식부화난제사) : 알겠노라, 허풍쟁이는 제대로 일 해내기 어려운 법
祖生終是不羈人(조생종시부기인) : 조생은 남에게 구속받을 사람이 아니라는 것을

 

 

詠史2(영사2)-安鼎福(안정복)
곽박(郭璞)-安鼎福(안정복)

京郭當年以易名(경곽당년이역명) : 경방이나 곽증은 주역으로 이름을 날려서
指凶示吉妙難形(지흉시길묘난형) : 길흉을 맞춤이 묘하여 말로 표현 못할 정도였는데
如何不識潛龍義(여하부식잠룡의) : 어째서 숨을 때는 숨을 줄을 모르고
任運頹心保此生(임운퇴심보차생) : 운명에 맡겨 마음 편하게 목숨 보존 못했는가

 

 

讀大學(독대학)-安鼎福(안정복)
대학을 읽고-安鼎福(안정복)

讀罷曾書夜已窮(독파증서야이궁) : 대학을 읽고 나니 이미 밤은 깊고
殘燈明滅影搖紅(잔등명멸영요홍) : 등불 깜박이며 그림자 붉게 흔들리네.
三更色動千山月(삼경색동천산월) : 삼경에는 달빛이 온 산에 요동치고
萬木聲傳一壑風(만목성전일학풍) : 나무를 스치는 바람 소리가 골짜기로 전해오네
世上浮名渾似夢(세상부명혼사몽) : 덧없는 세상 명리 모두가 꿈속 일이네.
箇中眞味孰能通(개중진미숙능통) : 이 속의 참 맛을 그 누가 다 알겠는가
勸君更討危微義(권군경토위미의) : 권하노라, 인심과 도심의 바른 뜻을 새겨볼 것을
意到誠時覺有功(의도성시각유공) : 뜻이 정말 성실하게 되었다면 공업을 이룬 것이네.

 

 

記夢(기몽)-安鼎福(안정복)
꿈을 적다-安鼎福(안정복)

人心操舍本由中(인심조사본유중) : 사람 마음 통솔은 속에서 말미암으니
動處端宜猛着工(동처단의맹착공) : 처음 움직일 때 과단성 있게 시작해야하네
一步一言先自驗(일보일언선자험) : 한 마디 한 걸음을 스스로 경험하여
存存不已味無窮(존존부이미무궁) : 잡고 또 잡아두면 그 맛이 끝없네.

 

 

感懷1(감회1)-安鼎福(안정복)
감회-安鼎福(안정복)

工夫散誕不成章(공부산탄불성장) : 공부가 산만하고 방탕하여 제대로 이루지 못하고
八十光陰病裡忙(팔십광음병리망) : 팔십 년간 병 속에 바쁘기만 했도다.
惜寸素心猶未已(석촌소심유미이) : 촌음을 아끼려는 마음 아직도 없어지지 않아
窓前日影坐商量(창전일영좌상량) : 창문 앞 해 그림자에 앉아 생각에 잠겨본다

 

 

自警(자경)-安鼎福(안정복)
스스로 경계함-安鼎福(안정복)

人說家難天下易(인설가난천하역) : 사람들은 천하보다 집단속이 더 어렵다 하는데
須從難處驗工夫(수종난처험공부) : 어려운 곳부터서 공부를 겪어야한다네.
張公忍字還多事(장공인자환다사) : 장공의 참을 인자 석자가 도리어 일거리라
孝悌行來忍亦無(효제행래인역무) : 부모에 효도하고 형제간 우애하면 참을 것도 없으리라.

 

 

'한국 漢詩' 카테고리의 다른 글

원천석(元天錫) 다수  (0) 2015.03.11
안축(安軸) 다수  (0) 2015.03.11
신채호(申采浩) 다수  (0) 2015.03.11
신광한(申光漢)  (0) 2015.03.11
宋翼弼(송익필) 다수  (0) 2015.03.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