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한국 漢詩

신광한(申光漢)

신광한

 申光漢

 

1484(성종 15)~ 1555(명종 10).
조선 중기의 문신

 

대제학을 지낸 당대의 문장가로 2편의 몽유록과 소설에 근접한 2편의 전(傳)을 남겼다. 본관은 고령(高靈). 자는 한지(漢之)·시회(時晦), 호는 기재(企齋)·낙봉(駱峰)·석선재(石仙齋)·청성동주(靑城洞主). 영의정 숙주(淑舟)의 손자이고 내자시정(內資寺正) 형(泂)의 아들이다. 1507년(중종 2) 사마시를 거쳐 1510년(중종 5) 식년문과에 급제, 1514년(중종 9) 사가독서(賜暇讀書)를 하고 홍문관전교가 되었다. 조광조 등과 함께 신진사류로서 1518년(중종 13) 대사성에 특진되었으나 다음해 기묘사화에 연좌되어 삭직되었다. 1537년(중종 32) 등용되어 이조판서·홍문관제학을 지냈다. 1545년(명종 즉위) 을사사화 때 윤임 등 대윤(大尹)을 제거하는 데 공을 세워 위사공신(衛社功臣) 3등이 되었다. 같은 해 우찬성으로 양관대제학을 겸임, 영성부원군(靈城府院君)에 봉해졌으며, 1550년(명종 5) 좌찬성이 되었다. 1553년(명종 8) 궤장(几杖)을 하사받고 기로소(耆老所)에 들어갔다.

필력이 뛰어나 몇 편의 몽유록과 전을 남겼는데 〈안빙몽유록 安憑夢遊錄〉·〈서재야회록 書齋夜會錄〉은 이른 시기에 이루어진 몽유록이다. 〈안빙몽유록〉에서는 급제하지 못한 안빙이라는 사람이 꽃동산에서 잠들었다가 꽃나라에 가서 놀고 시를 읊었다고 했다. 〈서재야회록〉은 어느 선비가 못 쓰게 된 벼루·붓·먹·종이가 버림받게 되었다고 서러워하는 것을 엿듣고 정중하게 땅에 묻은 뒤 제사지냈다는 내용이다. 두 작품 모두 몽유록에 가전체를 더해서 지었다. 〈최생우진기 崔生遇眞記〉는 최생이 선계(仙界)에서 놀고 용궁에서 시를 짓다 돌아와 산에서 약초를 캐다가 생애를 어떻게 마쳤는지 알 수 없다고 한 내용으로 김시습의 〈용궁부연록 龍宮赴宴錄〉과 비슷하다. 〈하생기우록 何生奇遇錄〉은 과거공부를 하던 하생이 죽은 여자와 사랑하고 그 여자가 다시 살아나 부부가 되었다는 내용으로 〈만복사저포기 萬福寺樗蒲記〉와 비슷하다. 그러나 두 편이 모두 기이한 이야기를 흥미롭게 전하는 데 치우치고 자아와 세계의 갈등이 심각하지 않아 소설이 되다 말았다고 할 수 있다. 〈금오신화〉의 영향을 외적으로만 받아 오히려 소설의 정착을 저해했다는 평을 받는다. 1553년(명종 10) 목판본으로 간행된 〈기재기이 企齋記異〉에 실려 전한다. 시호는 문간(文簡)이다.

 

 

 

 

 

 

영사52(詠史52)-신광한(申光漢)
역사를 읊음-신광한(申光漢)

項羽-항우

堂堂氣力竟何如(당당기력경하여) : 당당한 기력 끝내 어찌 되었나
學劍無成恥學書(학검무성치학서) : 검술도 이루지 못하고 글 배우기도 부끄러워했다.
密擊詐坑皆戰罪(밀격사갱개전죄) : 몰래 치고 속여 묻은 것도 다 전쟁의 죄
八年空爲漢驅除(팔년공위한구제) : 팔 년을 헛되이 한나라의 몰이꾼이 되었구나

 

 

영사35(詠史35)-신광한(申光漢)
역사를 읊음-신광한(申光漢)

呂望-여망

淸渭東流白髮垂(청위동류백발수) : 동으로 흐르는 맑은 위수에 백발을 드리우고
一竿誰見釣璜時(일간수견조황시) : 낚싯대로 패옥 낚던 일 그 누가 보았을까.
悠悠湖海多漁父(유유호해다어부) : 유유한 호수와 바다에 어부도 많았지만
不遇文王定不知(불우문왕정불지) : 문왕을 만나지 못했다면 알려지지 못했으리라.

 

 

광진선상(廣津船上)-신광한(申光漢)
광진 선상에서-신광한(申光漢)

원제 * 廣津船上望見三角山有感

孤舟一出廣陵津(고주일출광릉진) : 외로운 배로 한 번 광나루를 나와
十五年來未死身(십오년래미사신) : 십오 년이 지나도 죽지 못한 몸이어라.
我自有情如識面(아자유정여식면) : 나는 절로 정이 있어 알아볼 듯하여도
靑山能記舊時人(청산능기구시인) : 청산은 능히 옛 사람 기억할 수 있을까.

 

 

십영6(十詠6)-신광한(申光漢)
십영-신광한(申光漢)

沙汀秋月-뱃사장 가을달

江落天高渚色淸(강락천고저색청) : 강물 흘러내리고 하늘 높고 물가는 맑은데
露凝秋月冷沙汀(로응추월랭사정) : 이슬 맺힌 가을 달에 뱃사장이 차갑다.
玉盤珠墮那容比(옥반주타나용비) : 옥쟁반에 구슬 떨어짐을 어찌 비교할 수 있을까
一夜疏櫺竟不扃(일야소령경불경) : 온 밤 성긴 창들 끝내 문을 닫지 않았어라.

 

 

십영8(十詠8)-신광한(申光漢)
십영-신광한(申光漢)

楮島歸帆-저도의 돌아오는 돛단배

蒼山中立一江遙(창산중립일강요) : 푸른 산 가운데 솟고 강물이 아득한데
直到軒前逝寂寥(직도헌전서적요) : 바로 집 앞에 왔다가 쓸쓸히도 떠나간다 .
日夕南風知與便(일석남풍지여편) : 해지는 저녁에 봄바람 함께 함을 알아
數帆和雨替蘭橈(수범화우체란요) : 돛단배 몇 척이 비 맞아 예쁜 노를 바꾼다.

 

 

십영7(十詠7)-신광한(申光漢)
십영-신광한(申光漢)

柳店漁火-유점의 고깃불

依依垂柳暗江濆(의의수류암강분) : 늘어진 수양버들 강가에 어둑하고
人語黃昏未掩門(인어황혼미엄문) : 황혼에 사람소리 문은 아직 열려있다.
忽怪雨中星宿亂(홀괴우중성수란) : 홀연히 빗속에 쏟아지는 별들 괴이한데
却聞漁唱辨漁村(각문어창변어촌) : 뱃노래 듣고서야 어촌인 것을 알았다.

 

 

최동년경포별서(崔同年鏡浦別墅)-신광한(申光漢)
최동년 경포대 별장에서-신광한(申光漢)

원제; 崔同年鏡浦別墅卽事次昌邦韻

沙村日暮扣柴扉(사촌일모구시비) : 갯마을 일모에 사립문 두드리니
夕露微微欲濕衣(석로미미욕습의) : 저녁 이슬 조금씩 옷깃에 젖어든다.
江路火明聞犬吠(강로화명문견폐) : 강둑길 불 밝으니 개 짖는 소리
小童來報主人歸(소동래보주인귀) : 어린 종은 주인 돌아온다고 알린다.

 

 

동산역(洞山驛-신광한(申光漢)
동산역에서-신광한(申光漢)

蓬島茫茫落日愁(봉도망망낙일수) : 봉래섬 아득하고 지는 해가 시름겹고
白鷗飛盡海棠洲(백구비진해당주) : 백구는 날아 해당화 핀 섬으로 떠난다.
如今始踏鳴砂路(여금시답명사로) : 지금에야 비로소 맑은 모랫길 밟아보니
二十年前舊夢遊(이십년전구몽유) : 이십 년 전 지난 꿈길에서 노니는구나.

 

 

유소사(有所思)-신광한(申光漢)
그리워-신광한(申光漢)

秋草離離白露時(추초리리백로시) : 가을 풀 우거지고 흰 이를 내릴 때
夜深明月候蟲飛(야심명월후충비) : 깊은 밤 닭은 밝은데 철 따라 벌레가 난다.
牽牛只恨天津隔(견우지한천진격) : 견우는 단지 은하수 가로 막힌 것 한탄하나
不識人間有別離(불식인간유별리) : 인간세상의 이별 있는 줄은 알지 못하는구나

 

 

야분후우제(夜分後雨霽)-신광한(申光漢)
밤 깊어 비가 개어-신광한(申光漢) * 원제; 夜分後雨霽月色如晝舟泊長灘荻花灣

孤舟一泊荻花灣(고주일박적화만) : 외로운 배로 갈대밭에 묶어두니
兩道澄江四面山(양도징강사면산) : 두 줄기 맑은 강, 사방은 산이라.
人世豈無今夜月(인세기무금야월) : 세상에 어찌 오늘 밤 달 없으랴만
百年難向此中看(백년난향차중간) : 평생 이런 곳에서 보기는 어려워라.

 

 

증별당질원량잠지임령동군3(贈別堂姪元亮潛之任嶺東郡3)-신광한(申光漢)
당질 원량 잠이 임지인 영동군으로 가는 것을 증별하다-신광한(申光漢)

山齋寒夜燭熒熒(산재한야촉형형) : 차가운 밤, 산 속 집에 홀로
坐覺風來竹有聲(좌각풍래죽유성) : 앉으니 바람에 대숲에 소리 들린다.
一作天涯知己別(일작천애지기별) : 하늘 끝 멀리서 친구와 이별 하니
春光空入洛陽城(춘광공입락양성) : 봄빛은 공연히 낙양성에 불어든다.

 

 

증별당질원량잠지임령동군1(贈別堂姪元亮潛之任嶺東郡1)-신광한(申光漢)
당질 원량 잠이 임지인 영동군으로 가는 것을 증별하다-신광한(申光漢)

一萬峰巒又二千(일만봉만우이천) : 일만 산봉우리에 또 이천 산봉우리
海雲開盡玉嬋姸(해운개진옥선연) : 바다 구름 다 걷히면 옥처럼 고우리라.
少時多病今傷老(소시다병금상로) : 젊을 땐 병 많고 지금은 늙음에 상심하여
終負名山此百年(종부명산차백년) : 이 백 년 인생에 끝내 명산을 저버렸어라.

 

 

증별당질원량잠지임령동군2(贈別堂姪元亮潛之任嶺東郡2)-신광한(申光漢)
당질 원량 잠이 임지인 영동군으로 가는 것을 증별하다-신광한(申光漢)

追惟勝跡發長嗟(추유승적발장차) : 명승지를 추억하고 긴 탄식을 발하노니
三十年來夢一過(삼십년래몽일과) : 30년 동안에 꿈에서 한 번 지났다네.
疏雨落霞鳴玉路(소우락하명옥로) : 성긴 비 놀에 떨어지고 옥 울리는 길
馬蹄曾踏海棠花(마제증답해당화) : 내 말 발굽 일찍이 해당화 밟고 지났다네

 

 

죽산도중(竹山途中)-신광한(申光漢)
죽산 가는 길에-신광한(申光漢)

征驂羸盡一冬深(정참리진일동심) : 나그네 말도 지친 한 겨울 깊어가고
白首懷君正不禁(백수회군정불금) : 흰 머리로 임금님 생각 금할 길이 없어라.
家在石城歸亦好(가재석성귀역호) : 집이 석성에 있는데 돌아가기도 좋은데
朔風吹折倦遊心(삭풍취절권유심) : 북풍이 불어 지친 나그네 마음 꺾는구나.

 

 

별친구야박저자도영사(別親舊夜泊楮子島詠事)-신광한(申光漢)
친구와 헤어진 뒤 저자도에 정박하여 일을 읊다-신광한(申光漢)

江湖浪迹已多年(강호랑적이다년) : 강호를 유랑한 자취 이미 여러 해인데
纔到紅塵意惘然(재도홍진의망연) : 속세에 이르자 마음이 아득해지는구나.
却怪酒醒淸入骨(각괴주성청입골) : 이상하여라, 술 깨니 맑은 기운 뼈에 스미고
不知身臥月明船(불지신와월명선) : 나도 모르게 달 밝은 배 안에 누워있구나.

 

 

차안성판상운(次安城板上韻)-신광한(申光漢)
안성군 시판을 차운하다-신광한(申光漢)

當年潦倒過春城(당년료도과춘성) : 당시에 초라하게 봄 성을 지났는데
仗節重來意未平(장절중래의미평) : 부절을 차고 다시 오니 마음 설렌다.
沽得濁醪知有主(고득탁료지유주) : 탁주 팔던 주인은 지금도 있는가
杏花村戶不分明(행화촌호불분명) : 살구꽃 피어있는 집이 아련하여라.

 

 

한식후일일(寒食後一日)-신광한(申光漢)
한식 후 어느 하루-신광한(申光漢) *원제; 寒食後一日過介峴金公世弼舊居有感

同時逐客幾人存(동시축객기인존) : 동시에 쫓겨난 사람 몇이나 살아남았을까
立馬東風獨斷魂(입마동풍독단혼) : 봄바람에 말 세우니 홀로 넋이 끊어진다.
煙雨介山寒食路(연우개산한식로) : 안개비 낀 개산을 한식날 길 가는데
不堪聞篴夕陽村(불감문적석양촌) : 해지는 마을, 피리소리 듣지 못하겠다.

 

 

투숙산사(投宿山寺)-신광한(申光漢)
산사에 투숙하며-신광한(申光漢)

少年常愛山家靜(소년상애산가정) : 젊은 시절 항상 고요한 산속 집이 좋아
多在禪窓讀古經(다재선창독고경) : 자주 선가의 창가에서 옛 경전을 읽었다.
白髮偶然重到此(백발우연중도차) : 백발이 되어서 우연히 이곳에 다시 오니
佛前依舊一燈靑(불전의구일등청) : 불전에 옛날처럼 푸른 등불 하나 켜있다.

 

 

독직내조문야우(獨直內曹聞夜雨)-신광한(申光漢)
내조에서 홀로 당직하며 밤비소리 듣다-신광한(申光漢)

江湖當日亦憂君(강호당일역우군) : 강호에 있던 날도 임금 걱정
白首無眠夜向分(백수무면야향분) : 흰 머리로 잠 못 자고 밤을 새웠다.
華省寂寥疏雨過(화성적요소우과) : 궁궐은 적막한데 성긴 비 지나가니
隔窓桐葉最先聞(격창동엽최선문) : 창 너머 오동잎에 가장 먼저 들린다.

 

 

득양제서(得兩弟書)-신광한(申光漢)
두 동생의 글을 받고-신광한(申光漢)

天涯吾二弟(천애오이제) : 멀리 하늘 끝 나 두 동생
垂老事多憐(수로사다련) : 늙도록 일마다 불쌍한 일 많도다.
橡拾三溪寺(상습삼계사) : 삼계사에서 도토리를 줍는데
詩傳百奧船(시전백오선) : 백월의 배에서 시를 전하였다.
文章有窮鬼(문장유궁귀) : 문장에는 궁한 귀신이 보이고
租稅急荒年(조세급황년) : 조세는 흉년일수록 더욱 심하단다.
歲暮東江上(세모동강상) : 세모에 동강에 있으려니
心摧去雁前(심최거안전) : 떠나는 기러기 앞에서 네 마음 꺾어진다.

 

 

여망도(呂望圖)-신광한(申光漢)
여망도-신광한(申光漢)

淸渭東流白髮垂(청위동류백발수) : 맑은 위수는 백발처럼 동으로 흘러
一竿誰見釣璜時(일간수견조황시) : 한 낚시대로 황옥을 건져낼 때를 누가 알았으랴
悠悠湖海多漁父(유유호해다어부) : 아득히 넓은 호수와 바다에 어부도 많지만
不遇文王定不知(불우문왕정부지) : 문왕을 만나지 못했으니 반드시 알지 못했으리라

 

 

차안성군판상운(次安城郡板上韻)-신광한(申光漢)
안성군 현판에 차운하여-신광한(申光漢)

當年潦倒過春城(당년료도과춘성) : 당시에 뜻을 잃고 봄날의 성을 지났는데
杖節重來意未平(장절중래의미평) : 지팡이 짚고 다시 찾으니 마음이 울적하다
沽得濁醪知有主(고득탁료지유주) : 아직 막걸리 팔고 있으니 주인은 있을 것이나
杏花村戶不分明(행화촌호불분명) : 살구꽃 핀 시골집이 어디인지 분명치가 않도다

 

 

풍우과월계협(風雨過月溪峽)-신광한(申光漢)
비바람 속, 월계협을 지나며-신광한(申光漢)

截壁嵯峨十里橫(절벽차아십리횡) : 깎아지런 산비탈 우뚝히 십리
緣江一路細紆縈(연강일로세우영) : 푸른 강가로 한 줄기 길이 구불구불
平生粗識安危分(평생조식안위분) : 내 평생 삶으로 안전과 위험 조금은 알아
脚底風波未足驚(각저풍파미족경) : 발 아래 풍파에도 족히 놀랍지가 않는다네

 

 

宿山寺(숙산사)-申光漢(신광한)
산사에 묵으며-申光漢(신광한)

少年常愛山家靜(소년상애산가정) : 어려서 항상 산속의 고요함을 좋아하여
多在禪窓讀古經(다재선창독고경) : 자주 절 방에서 옛 경서 읽었다
白首偶然重到此(백수우연중도차) : 백발 되어 우연히 다시 이곳을 찾으니
佛前依舊一燈靑(불전의구일등청) : 부처 앞에는 옛날처럼 파란 등불이 켜있다

 

 

過金公舊居有感(과김공구거유감)-申光漢(신광한)
김공의 옛집을 지나며-申光漢(신광한)

當時逐客幾人存(당시축객기인존) : 당시에 유배된 사람 몇이나 살아있는고
立馬東風獨斷魂(입마동풍독단혼) : 봄바람에 말 세우고 나 홀로 서글퍼하네
煙雨介山寒食路(연우개산한식로) : 산은 자욱한 안개비 내리는, 한식날 길거리
不堪聞笛夕陽村(불감문적석양촌) : 차마 못 듣겠네, 해 지는 고을의 피리소리를

 

 

阻雨宿神勒寺(조우숙신륵사)-申光漢(신광한)
봄비로 신륵사에 묶으며-申光漢(신광한)

好雨留人故不晴(호우류인고불청) : 봄비로 떠나지 못하는데, 짐짓 개지 않고
隔窓終日聽江聲(격창종일청강성) : 창밖에는 종일토록 흐르는 강물 소리
斑鳩又報春消息(반구우보춘소식) : 산비둘기는 또 봄소식을 알리는데
山杏花邊欸欸鳴(산행화변애애명) : 산살구꽃 가에서 구구구 산비둘기 우는 소리

 

 

'한국 漢詩' 카테고리의 다른 글

안정복(安鼎福) 다수  (0) 2015.03.11
신채호(申采浩) 다수  (0) 2015.03.11
宋翼弼(송익필) 다수  (0) 2015.03.11
서거정(徐居正) 사도호 외  (0) 2015.03.11
泗溟堂(사명당) 봉금계심명부 외  (0) 2015.03.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