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한국 漢詩

김인후 사미정

 

 

詠李上舍鶴四美亭
 이상사(학)의 사미정을 읊다.

                                   김인후(金麟厚)
                                   1510(중종5) ~ 1560(명종15)

     

    江雲一雨肥  강 구름이 비 한번 넉넉히 내려

    南畝看春耕  남녘들 봄갈이가 볼 만하더니

    日夜自生息  밤낮의 기운 받아 싹이 나와서

    欣欣苗向榮  무럭무럭 곡식들 잘도 자랐네.

    把鋤去랑유  호미로 들에 나가 김을 매주니

    漸見秋實成  차츰 가을 이삭이 여물어갔지.

    兒童驅雀鼠  아이들 새 쥐 지켜 거둬들이니

    一廛輸易영  한 뙈기 농부 살림이 풍족하구나.

    且詠실솔唱  이제 실솔 노래 읊조리면서

    酌醴諧性情  숨돌려 한잔 술이나 즐겨볼거나.

    < 右農 ;위는 농사짓기를 읊은 것 >

    랑유(禾+良, 艸+秀), 영(羸-羊+貝), 실솔(귀뚜라미)
    * 실솔노래: 시경 당풍에 나오는 실솔.
    가을걷이를 마치고 한창 바쁘던 농사철이 지나고 나서
    추위가 닥칠 때쯤에 귀뚜라미가 대청에 올라감.
    이 때가 되면 농부들은 다소 한가로워짐.

     

     

     

    蠶月麗景遲  누에철 다가와 날 따스하니

    습桑柔始敷  언덕 뽕나무 잎이 피었네.

    攀條철其葉  가지 잡아당겨 그 잎 따다가

    采采看朝포  아침 저녁 풍성하게 먹이 주었지.

    촉촉佇三眠  꿈틀꿈틀 석 잠을 기다렸더니

    滿箔奇功輸  잠박 가득 고치들 기특도 해라.

    新絲足自給  새 명주실은 쓰기 넉넉하고

    不見充官租  나라에선 세금으로 빼앗지 않네.

    萬室樂太平  집집마다 태평시대 함께 즐기어

    鼓舞歌康衢  흥겨이 강구노래를 부르는구나.

    < 右桑 ;위는 누에치기를 읊은 것 >

    습(濕-水+좌부방), 철(手+輟-車), 포(日+甫),
    촉촉(蟻-義+蜀, ..)

    * 습상: 시경 소아 습상에서 글자를 인용해서 쓴 것임.
    시경의 주석에 의하면, 습하고 낮은 지역에서
    뽕나무가 잘 자란다고 하였는데,
    통상 우리나라 뽕밭은 언덕진 곳에 있으므로,
    위와 같이 번역하였음.
    * 강구노래: 강구는 사통팔달의 큰 길을 말함.
    옛날에 요임금이 천하를 다스린지 50년이 지나서
    미복차림으로 여론을 살피러 나갔더니,
    길거리 아이들이
    태평성대를 칭송하는 노래를 부르고 있었다고 함.
    이후 이 낱말은 태평시대를 상징하는 뜻으로 사용됨.

     

     

     

    向晩理煙艇  저물녘에 조각배 손질좀 해서

    滄波垂釣絲  푸른 물결에 낚시줄 드리웠네.

    寓興非爲魚  취미일 뿐, 고기 잡자는 건 아니지만

    有得猶可怡  낚이면 그래도 마음 즐겁지.

    呼童貫之柳  아이 불러 버들가지 꿰어 들리니

    皓月山前窺  하얀 달이 산 앞으로 고개 내미네.

    번思赤壁遊  예전 적벽놀이를 상상해 보니

    宛爾同襟期  지금이 옛 정취 그대로구나.

    更有暮雪時  다시 저녁눈이 내릴 양이면

    蓑笠君知誰  도롱삿갓을 그대는 알아 볼런지.

    < 右漁 ;위는 고기잡이를 읊은 것 >

    번(番+羽)

    * 적벽놀이: 송나라 소식이 적벽강에서 뱃놀이한
    일을 말함.
    적벽강에서 뱃놀이한 일을 주제로 하여
    적벽부라는 유명한 작품을 남겼음.
    * 도롱삿갓 : 유종원의 강설(눈내리는 겨울강)에서
    배경 이미지를 따왔음.
    본 홈페이지 중국한시 참조.

     

     

     

    靑山臨碧水  푸른 산이 푸른 물을 내려다 보니

    煙霧生其間  연기 안개 그 사이서 피어오르네.

    腰鎌者誰子  허리에 낫을 찬 자 저게 누군가

    逕路工제攀  사잇길 익숙히 잘 오르는 걸.

    長歌采薪蒸  노래가락 뽑으며 나무를 하니

    幽興飛孱顔  흥겨움은 날아 산 마루 넘네.

    日夕始歸來  날 저물어 비로소 집을 향하니

    栖鳥相與還  새들도 둥지로 돌아가는군.

    偶此入吾賞  우연히 나는 이 광경 보게 된 거라

    寧知彼行艱  저들의 고생을 어찌 알리오.

    < 右樵 ;위는 나무하기를 읊은 것 >

    제(足+齊)

                        <한국문집총간 33집 河西全集 卷二>

     

     

     

     

     

     

'한국 漢詩' 카테고리의 다른 글

김창협 산속에 사는 사람  (0) 2015.03.08
김종직 쌀 건지는 노래  (0) 2015.03.08
김육 옛 역사를 보면  (0) 2015.03.08
김육 슬픔  (0) 2015.03.08
김육 국화  (0) 2015.03.0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