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구용(金九容)
본관은 안동(安東). 초명은 제민(齊閔), 자는 경지(敬之),
호는 척약재(惕若齋) 또는 육우당(六友堂). 첨의중찬 방경(方慶)의 현손으로 묘(昴)의 아들이다.
1338(충숙왕 복위 7)∼1384(우왕 10). 고려 후기의 문신.
공민왕 때 16세로 진사에 합격하고, 왕명으로 모란시(牡丹詩)를 지어 일등을 하여 왕으로부터 산원직(散員職)을 받았다.
18세에 과거에 급제해 덕녕부주부(德寧府注簿)가 되었다.
1367년(공민왕 16) 성균관이 중건되자, 민부의랑겸성균직강(民部議郎兼成均直講)이 되어 정몽주(鄭夢周)·박상충(朴尙衷)·이숭인(李崇仁) 등과 함께 후학의 훈화에 노력해 성리학을 일으키는 일익을 담당하였다.
1375년(우왕 1) 삼사좌윤(三司左尹)이 되었을 때, 이인임(李仁任) 등 권신들이 북원(北元)이 보낸 사절을 맞으려 하자, 이숭인·정도전(鄭道傳) 등 당시 친명파와 함께 도당(都堂)에 상서해 이를 반대하다가 죽주(竹州)에 귀양갔다.
뒤에 여흥(驪興)으로 옮겨 강호에 노닐며 거처하는 곳을 육우당이라 이름하고, 시와 술로 날을 보냈다.
1381년(우왕 7)에 좌사의대부(左司議大夫)가 되어 왕의 절제 없는 거둥을 경계하는 글을 올려 직간하였다.
이듬해 성균관대사성이 되었다가 판전교시사(判典校寺事)가 되었다.
1384년 행례사(行禮使)가 되어 명나라에 갈 때, 국서와 함께 백금 1백냥과 세저(細苧)·마포 각 50필을 가지고 갔다.
요동에서 체포되어 명나라 서울 남경(南京)으로 압송되었는데, 명나라 태조의 명으로 대리위(大理衛)에 유배되던 도중
노주 영녕현(瀘州永寧縣)에서 병사하였다
기금안량대언(寄金安兩代言)-김구용(金九容) |
반가계역2(潘家谿驛2)-김구용(金九容) |
반가계역1(潘家谿驛1)-김구용(金九容) |
감회1(感懷1)-김구용(金九容) |
감회2(感懷2)-김구용(金九容) |
연탄상기달가2(燕灘上寄達可2)-김구용(金九容) |
연탄상기달가1(燕灘上寄達可1)-김구용(金九容) |
신월(新月)-김구용(金九容) |
야초(野草)-김구용(金九容) |
안동객사북루차고조상락공시운(安東客舍北樓次高祖上洛公詩韻)-김구용(金九容) |
송정당사승지임충주(送鄭當寺丞之任忠州)-김구용(金九容) |
송곽구주검교(送郭九疇檢校)-김구용(金九容) 萬里天王地(만리천왕지) : 만리 천왕이 땅 何年息戰塵(하년식전진) : 어느 해 전쟁이 그칠까 元戎方授鉞(원융방수월) : 장군은 바야흐로 도끼를 받는데 信使遠交隣(신사원교린) : 사신은 멀리 이웃 나라와 교린하려네 跋涉來蒼海(발섭래창해) : 산 넘고 물 건너 창해로 왔다가 驅馳向紫宸(구치향자신) : 달리고 달려서 임금에게로 돌아간다 自今爭刮目(자금쟁괄목) : 이제부터 다투어 눈 닦으며 重見至元春(중견지원춘) : 지원의 봄을 다시 보리라 |
야장(夜莊)-김구용(金九容) 閉門終不接庸流(폐문종불접용류) : 문 닫아걸고 용렬한 사람과 사귀지 않고 只許靑山入我樓(지허청산입아루) : 다만 푸른 산만이 내 누각에 받아들인다 樂便呤哦慵便睡(악편령아용편수) : 즐거우면 시를 읊고 졸리면 잠을 자니 更無餘事到心頭(경무여사도심두) : 다시 내 마음에 다른 일이 오는 것은 없도다 |
무창(武昌)-김구용(金九容) 黃鶴樓前水湧波(황학루전수용파) : 황학루 앞에는 강의 솟구치는 물결 沿江簾幕幾千家(연강렴막기천가) : 강 따라 늘어선 주렴과 장막 몇 천 집인가 醵錢沽酒開懷抱(갹전고주개회포) : 돈을 추렴하여 술 사서 회포를 푸는데 大別山靑日已斜(대별산청일이사) : 대별산은 푸른데 해는 이미 기울었구나 |
야박양자강(夜泊揚子江)-김구용(金九容) 月滿長江秋夜淸(월만장강추야청) : 달은 긴 강에 가득하고 가을밤은 맑은데 繫船南岸待潮生(계선남안대조생) : 남쪽 언덕에 배를 매고 조수 나기 기다렸다 蓬窓睡覺知何處(봉창수교지하처) : 잠이 깨니 봉창이 어디인지 알겠노니 五色雲深是帝城(오색운심시제성) : 오색 구름 깊은 곳이니 제왕의 성이로구나 |
우제(偶題)-김구용(金九容) 暮釣滄江月(모조창강월) : 저물어 넓은 강 달을 낚고 朝耕綠野雲(조경록야운) : 아침에는 푸른 들판의 구름을 간다 忽驚京輦夢(홀경경련몽) : 홀연히 서울 수레 꿈에 보고 놀라니 猶自未忘君(유자미망군) : 아직도 임금님을 잊지 못했구나 |
기충주한판관(寄忠州韓判官)-김구용(金九容) 春風匹馬過忠州(춘풍필마과충주) : 봄바람에 필마로 충주 고을을 지나니 細流依依弄煞柔(세류의의롱살유) : 가는 버들잎 아른아른 흔들거리는구나 相見嘯鶯藏不得(상견소앵장부득) : 생각건대, 우는 꾀고리 숨기지 못하리니 幾人攀折漢江頭(기인반절한강두) : 몇 사람이 한강 변의 버드나무 잡아꺾는다 |
기허야당금(寄許野堂錦)-김구용(金九容) 高臥黃驪興有餘(고와황려흥유여) : 황려 땅에 높이 누우니 마음 흥겨운데 江山不斥一狂疏(강산불척일광소) : 강산도 광기서린 한 사람을 배척 않는다 從容耐可終身老(종용내가종신로) : 조용히 늙은채로 여생을 보낼만 하니 已與衰翁伴釣魚(이여쇠옹반조어) : 이미 늙은 어부와 고기낚시 친구되었도다 |
송승입산(送僧入山)-김구용(金九容) 靑山萬疊白雲深(청산만첩백운심) : 만 겹 푸른 산 흰 구름 깊은데 振錫飄然鍊此心(진석표연연차심) : 표연히 지팡이 흔들며 이 마음 가다듬다 欲識禪師存主處(욕식선사존주처) : 선사가 머물려는 곳을 알아보니 月明風細沒弦琴(월명풍세몰현금) : 달 밝고 바람 잔잔한 줄 없는 거문고라네 |
병중(病中)-김구용(金九容) 年年春臥病(연년춘와병) : 해마다 봄이면 병으로 누워 門掩客來稀(문엄객래희) : 문 닫으니 손님도 드물구나 國報誠無力(국보성무력) : 국은을 갚기에는 정말 능력이 없고 思親尙未歸(사친상미귀) : 어버이 그리우나 아직 돌아가지 못한다 山靑花苒苒(산청화염염) : 산은 푸르고 꽃도 우거지고 江碧柳依依(강벽류의의) : 강이 파랗고 버들잎도 하늘거린다 何日黃驪縣(하일황려현) : 어느날 황려현에서 叉魚又采薇(차어우채미) : 물고기 잡고 또 고사리를 캐어볼까 |
도중(途中)-김구용(金九容) 夜困飛蚊晝困蝱(야곤비문주곤맹) : 밤에는 나는 모기, 낮에는 등에로 괴로워 嘬人咬馬血盈盈(최인교마혈영영) : 사람을 물고 말을 물어 피가 가득하도다 草深泉渴炎如火(초심천갈염여화) : 풀섶이 깊고 샘은 말라 더위가 불 같으니 誰識遼東六月行(수식요동유월행) : 누가 요동의 유월 여행길을 알고있겠는가 |
유기(有寄)-김구용(金九容) 千里相思共月明(천리상사공월명) : 천리 먼 곳에서 그리워 밝은 달 바라보니 傍簷高樹露華淸(방첨고수로화청) : 처마 곁 높은 나무에는 이슬 맑게 빛난다 回頭漂緲煙霞外(회두표묘연하외) : 노을 밖으로 아득히 머리를 돌려보니 忽有南飛雁一聲(홀유남비안일성) : 홀연히 남쪽으로 날아가는 기러기 소리 들린다 |
가상유감(街上有感)-김구용(金九容) 十字街頭夕照斜(십자가두석조사) : 열 십자 큰 길 가에 석양이 기우는데 喧闐車騎又繁華(훤전거기우번화) : 떠들썩한 수레와 말에다가 번화한 거리로다 太平氣像松山在(태평기상송산재) : 태평한 기운은 송산에 있어서 依舊蔥瓏揷彩雲(의구총롱삽채운) : 옛과 같은 푸르름과 영롱함 채색 구름에 꽃혀있다 |
송해상인(送海上人)-김구용(金九容) 不見龍巖舊主人(불견용암구주인) : 용암의 옛 주인 보지 못했는데 鳥啼花落又靑春(조제화락우청춘) : 새 울고 꽃 지니 또다시 푸른 봄이로다 嶺南何處栖禪穩(영남하처서선온) : 영남의 어느곳에서 참선에 들어 평온한지 淸夢應稀紫陌塵(청몽응희자맥진) : 맑은 꿈에는 응당 도시의 흙먼지도 적으리라 |
산거(山居)-김구용(金九容) 浩然天地一狂生(호연천지일광생) : 넓은 세상의 한 미치광이 인생이되어 獨臥靑山弄月明(독와청산농월명) : 홀로 청산에 누워 밝은 달을 희롱하노라 自笑邇來無世味(자소이래무세미) : 요즈음 스스로 웃노니, 세상사는 재미 하나 없노니 竹根流水洗心聲(죽근유수세심성) : 대나무 뿌리로 흐르는 물은 마음을 씻어주는 소리로다 |
|
야(夜)-김구용(金九容) |
채강(采江)-김구용(金九容) 采石江頭問酒家(채석강두문주가) : 채석강 입구에서 술집을 물으니 樓臺無限正繁華(누대무한정번화) : 누대가 무한히 많고 정말 화려하구나 風流李白今安在(풍류이백금안재) : 풍류객 이백은 지금 어대 있는가 夢覺蓬窓月滿波(몽교봉창월만파) : 꿈을 깨니 봉창엔 달빛만 물결에 가득하다 |
유행안사(遊幸安寺)-김구용(金九容) 滿山松柏雨濛濛(만산송백우몽몽) : 산에 가득한 소나무와 잣나무에 비가 촉촉하고 半日偸閒小夢中(반일투한소몽중) : 반나절 한가함에 잠깐 꿈에 빠져든다 多謝居僧爭挽手(다사거승쟁만수) : 절의 스님들 다투어 내 손 끌어 반기니 감사하고 焚香一榻笑談同(분향일탑소담동) : 향불 사른 걸상에 앉아 웃고 이야기 나누며 함께 하노라 |
과월계판(過月溪坂)-김구용(金九容) 溪形如月曲(계형여월곡) : 계곡의 모양 달처럼 굽어 恐得月溪名(공득월계명) : 월계라는 이름 얻지 않았을까 細路沿山腹(세로연산복) : 오솔길은 산기슭으로 이어져 行行可爽淸(행행가상청) : 걸음걸이가 시원하고 맑으리라 |
탄화(歎花)-김구용(金九容) 慢綠妖紅幾萬重(만록요홍기만중) : 흐드러진 풀 요염한 꽃 몇 만 겹인가 千家日暖氣濛濛(천가일난기몽몽) : 집집마다 날은 따뜻해지고 기운은 아른거린다 猜嫌豈獨人間事(시혐기독인간사) : 시기와 지투가 어찌 오직 인간만의 일인가 昨夜東風一半空(작야동풍일반공) : 어젯밤 봄바람에 반은 비어 헛되이 되었거늘 |
천마산(天磨山)-김구용(金九容) 山腰石徑俯高林(산요석경부고림) : 산허리 돌길에서 높은 숲 굽어보니 策馬夤緣却爽心(책마인연각상심) : 말을 채찍질하며 오르니 도리어 마음이 상쾌하도다 雲谷問僧何處是(운곡문승하처시) : 구름 낀 골짜기에서 이곳이 어딘지 스님에게 물으니 溪流盡處白雲深(계류진처백운심) : 골짝물 다하는 곳에는 흰 구름이 깊도다 |
춘일대우유감(春日對雨有感)-김구용(金九容) 千花萬柳氣空濛(천화만류기공몽) : 천만 꽃과 버들 기운이 용연히 간들거리고 城北城南綠映紅(성북성남록영홍) : 성의 남북에서 녹색 푸른 풀이 붉은 꽃에 비친다 最好雨餘樓上見(최호우여누상견) : 비 온 뒤의 누대 위에서 바라봄이 가장 좋고 却愁明日有東風(각수명일유동풍) : 도리어 내일 아침에 봄바람 일까 근심스러워라 |
帆急(범급)-金九容(김구용) 帆急山如走(범급산여주) : 산이 달려가는 듯 배가 빠르고 舟行岸自移(주행안자이) : 비가 빨리 지나가니 언덕이 옮아간다 異鄕頻問俗(이향빈문속) : 타향이라 풍속을 자주 묻고 佳處强題詩(가처강제시) : 아름다운 곳을 만나면 억지로라도 시를 짓는다 吳楚千年地(오초천년지) : 오나라와 촉나라의 천년 땅 江湖五月時(강호오월시) : 강과 호수는 오월의 계절이로다 莫嫌無一物(막혐무일물) : 볼거리 하나 없다 실어 말어라 風月也相隨(풍월야상수) : 풍월이야 항상 서로 따르는 법이라네 |
기해년홍적(己亥年紅賊)-김구용(金九容) 慷慨豪談笑(강개호담소) : 강개하여 호탕하게 담소하니 幽齋淸夜深(유재청야심) : 그윽한 서재에 맑은 밤이 깊어간다 悲風嘶朽木(비풍시후목) : 슬픈 바람은 썩은 나무에 울고 苦月上疏林(고월상소림) : 괴로운 달은 성긴 수풀에 오르는구나 撫劍三長嘆(무검삼장탄) : 칼을 만지며 세 번 길게 탄식하고 停杯一浩吟(정배일호음) : 술잔을 멈추며 한 번 크게 읊어본다 鴨江豺虎滿(압강시호만) : 압록강에 도적들이 가득하니 何似健兒心(하사건아심) : 사나이 마음이 어떠하겠는가 |
서액야직(西掖夜直)-김구용(金九容) 紗窓夢罷漏聲殘(사창몽파누성잔) : 비단창에서 꿈 깨니 밤 시간도 다하고 金鴨香燒曙色寒(금압향소서색한) : 금향로에 향불 피우니 새벽빛이 차갑도다 政是明時無弊事(정시명시무폐사) : 정치가 밝을 때는 폐단도 없어 只收風月入豪端(지수풍월입호단) : 풍월을 거두어 붓끝에 담아두리라 |
'한국 漢詩' 카테고리의 다른 글
김성일(金誠一) 검가 외 (0) | 2015.03.10 |
---|---|
김극기(金克己) 황산강 외 (0) | 2015.03.10 |
기대승 우봉일률병기소람 외 (0) | 2015.03.10 |
권근 숙감로사 외 (0) | 2015.03.10 |
홍유손 강가의 돌을 적다 (0) | 2015.03.0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