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십니까?
오늘 십여년 만에 다시 가보는 전북 고창의 귀한 장소- 도솔산(선운산)과 선운사(禪雲寺)
- 그리 높지는 않지만 호남의 내금강이라 불리는 아기자기하면서도 볼것 많은 선운산(도솔산)
- 봄이면 동백꽃, 가을이면 꽃무릇(상사화-相思花)과 단풍이 아름다운 지장신앙의 중심도량 선운사
마침 만개해서 군락을 이루고 있는 꽃무릇이 반겨 준 선운산 등산과 선운사를 소개합니다.
※선운산(도솔산)
전라북도 고창군 아산면과 심원면 경계에 있는 산.
높이 336m이다. 본래 도솔산(兜率山)이었으나 백제 때 창건한 선운사(禪雲寺)가 유명해지면서
선운산으로 이름이 바뀌었다.
주위에는 구황봉(九皇峰:298m)·경수산(鏡水山:444m)·개이빨산(345m)·청룡산(314m) 등의 산들이 솟아 있다.
그다지 높지는 않으나 ‘호남의 내금강’이라 불릴 만큼 계곡미가 빼어나고 숲이 울창하다.
주요 경관은 일몰 광경을 볼 수 있는 낙조대(落照臺), 신선이 학을 타고 내려와 노닐었다는 선학암(仙鶴岩) 외에
봉두암·사자암·만월대·천왕봉·여래봉·인경봉·노적봉 등 이름난 경승지가 많다.
특히 4월 초에 꽃이 피기 시작해 4월 하순에 절정을 이루는 선운사의 동백나무숲(천연기념물 184)이 유명한데,
선운사 뒤쪽 산비탈에 자라는 3,000여 그루의 동백나무에 일시에 꽃이 피는 모습은 장관이다.
그 밖에 봄철의 매화·벚꽃·진달래꽃도 볼 만하고, 가을에는 단풍이 아름답다. 고찰 선운사가 있는
고창 삼인리(三仁里)의 장사송(천연기념물 354)과 선운산 입구의 송악(천연기념물 367)도 유명하다.
선운사에는 금동보살좌상(보물 279)·대웅전(보물 290) 등의 문화재가 많다. 1979년 도립공원으로 지정되었다.
※선운사(禪雲寺)
대한불교조계종 제24교구의 본사.
《선운사사적기(禪雲寺寺蹟記)》에 따르면 577년(백제 위덕왕 24)에 검단선사(黔丹禪師)가 창건하였으며,
그후 폐사가 되어 1기(基)의 석탑만 남아 있던 것을 1354년(공민왕 3)에 효정선사(孝正禪師)가 중수하였다.
1472년(조선 성종 3) 부터 10여 년 간 극유(克乳)가 성종의 숙부 덕원군(德源君)의 후원으로 대대적인 중창을
하였는데 정유재란(丁酉再亂)으로 본당을 제외하고 모두 불타버렸다.
창건 당시는 89개의 암자와 189채의 건물, 그리고 수도를 위한 24개소의 굴이 있던 대가람이라고 기록되어 있다.
1613년(광해군 5)에는 무장(茂長)현감 송석조(宋碩祚)가 일관(一寬)·원준(元俊) 등 승려와 함께 재건을 도모,
3년에 걸쳐 대웅전·만세루(萬歲樓)·영산전(靈山殿)·명부전 등을 건립하였다.
이 절은 불교의 기본문제를 해결하려는 노력이 왕성해지고, 불립문자(不立文字)를 주장하던 선종(禪宗)에서도
선리(禪理)를 근본적으로 체계화하기 위한 운동이 일어나던 조선 후기에, 조사선(祖師禪)의 본연사상을
임제삼구(臨濟三句)에 입각하여 해결해 보려고 시도한 불교학자 긍선(亘璇)이 처음 입산수도한 절이기도 하다.
주요 문화재로는 보물 제279호인 금동보살좌상(金銅菩薩坐像), 보물 제280호인 지장보살좌상(地藏菩薩坐像)이
있으며, 대웅전(大雄殿)도 보물 제290호로 지정되어 있다
※등산일지
등산일시 : 2001년 9월20일(날씨 - 맑음)
등산인원 : 약30명
등산코스 : 마이재-도솔산-견치봉-낙조대-도솔암-선운사-꽃무릇군락-동백향연장-주차장
시간거리 : 약8km 4시간(절구경포함)
| |
'산행(트레킹)' 카테고리의 다른 글
설악산 대청봉 & 처녀단풍 (0) | 2011.10.07 |
---|---|
멋진님들과의 정기산행-청계산 이수봉 (0) | 2011.09.22 |
양평 사나사(舍那寺) & 백운봉(940m) 등정기 (0) | 2011.09.17 |
전북 진안의 마이산(馬耳山)등산 & 탑사(塔寺) 방문기 (0) | 2011.09.04 |
북한산의 14성문(城門) 종주 (0) | 2011.09.02 |